본문 바로가기

저널리즘/미디어 학습노트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배경, 이상, 변형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배경, 이상, 변형

객관주의 저널리즘이라 함은 사건에 대해 중립적 입장에서 평가함이지만 사실 그 시작은 상업화에서 비롯되었다. 신문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정파성을 버리면서 시작된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배경, 이상 그리고 변형을 이야기해본다.

 

 

 

01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배경

객관주의 저널리즘은 상업화를 위해 선택되어졌다. 1830년 페니 프레스(증기 기관 인쇄로 대량 생산된 신문) 등장 이전의 언론은 정파의 주장을 지지자들에게 전달해주는 역할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재원도 정파로부터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신문의 대량 생산 시대가 열리자 신문사는 대중으로부터 재원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보다 더 많은 대중들에게 선택받기 위해서는 정파적 태도를 벗어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부정파적 입장을 취할 수 밖에 없었고 뉴스 품질의 기준을 객관성을 선택한 것이다.

 

 

 

02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이상

 

객관주의 저널리즘은 실체를 있는 그대로 바라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동성과 순수성의 원칙을 갖게 되었다. 저널리스트의 개입이 없이 사회 현상, 객관적 지식, 과학적 진실을 있는 그대로 '알려주는 기능(rport news)'으로만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문제는 취재원에 있다. 저널리스트는 일종의 전달자와 기록자의 역할이었기 때문에 취재원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현실을 왜곡하고 과장되게 말할 경우 그들에 의해 언론이 휘둘리고 지배될 수 있다는 것이다.

 

 

03 객관주의 저널리즘의 변형

 

이런 외부세력에 대항하기 위해 불편부당성 또는 중립성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채용했다. 중립성이란 공정성, 형평성, 정확성 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실과 의견을 분리하고 토론의 균형을 맞추며 권위 있는 제3자에게 타당성을 갖추어야 한다.

 

하지만 정파성에서 벗어나기 위해 갈등과 대립의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사건에서 거리를 유지하며 평가하기보다 사실적인 기술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따라서 현실의 이야기가 반영되지 못하면서 저널리즘과 사회의 괴리가 발생하게 되었다.